Video Codec/H.265

HEVC Partitioning

Knight.kim 2023. 2. 24. 13:30

HEVC(H.265) stream을 구분하는 단위를 AVC(H.264)와 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.

  H.264 H.265
VPS X O
SPS O O
PPS O O
AU O O
NAL O O
Picture O O
Tile X O
Slice O O
Slice segment X O
CTU X 64x64, 32x32, 16x16
CU X 32x32, 32x16, ..., 16x16, 16x8, ... , ...
Macroblock 16x16 only X
     

 

AVC에서는 picture를 slice로만 구분할 수 있었는데, HEVC는 상위 개념의 tile과, 하위 개념의 slice segment를 추가했습니다. Tile은 rectangle 이어야 하고, low latency, multi-processing 등에 유리하기 때문에 AVC 이후에 만들어지는 모든 codec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

 

 

 

HEVC에서 VPS, Tile, Slice segment가 추가 되었고, 16x16 macroblock을 더 큰 size의 CTU block으로 수정되었습니다.

기본 적인 coding block를 키우는 이유는 video resolution이 4K, 8K, 16K 로 점점더 커지면서, homogenious한(평평한) 영역이 점점더 넓어 지기 때문에 이기도 합니다. 

HEVC는 AVC에 비해 훨씬 자유로운 block partitioning mode를 지원합니다.

HEVC의 CTU size는 64, 32, 16이 가능하고, CU size는 CTU size보다 클 수 없습니다.

 

Reference : T-REC-H.265-201304-S

반응형